프론트 성능 측정의 지표에 관해 DomContentLoaded 이벤트 (DCL) HTML 문서가 파싱된 후 발생하는 이벤트. 클라이언트 사이드 자바스크립트 코드(react, jquery 등)를 로드. 예전엔 DCL의 발생 시점을 프론트 성능 측정의 지표로 사용했었다고 한다. DCL이 늦어진다면? 블록 리소스 (css, js 등) 때문에 html 파싱이 중단된 건 아닌지? 자바스크립트는 body 엘리먼트 하단에 두는 것이 기본이고 async나 defer를 써서 html 파싱이 블록되지 않게 해야 한다. script 엘리먼트의 async 속성을 사용해 최적화 자바스크립트 실행 순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onload가 시작되기 전 JS가 실행되어야만 한다면 async 속성을 설정해야 한다. script 엘리먼트의 defer 속성을 사용해 최적화 자바스크립트의 실행 순서는 중요하되 DOM이 다 로딩된 후에 JS를 실행해도 된다면 defer 속성을 설정해야 한다. window.onload HTML 파싱이 끝나고 모든 종속 리소스들의 로드가 끝난 후 발생하는 이벤트. DCL vs onload 이미지는 블록 리소스가 아니므로 이미지 다운로드 중에도 (DCL 후) 렌더링 트리가 그려진다. 하지만 onload 이벤트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한 종속 리소스들의 다운로드가 끝나고 발생한다. First meaningful paint (FMP) 화면에 Hero Element가 처음 렌더링 되는 시점. 실질적인 프론트 성능 측정의 지표로 사용됨. Hero Element의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서비스에 따라 개발자가 정의해야 한다. First paint (FP) 단순히 non-blank인 화면의 첫 번째 렌더링. First contentful paint (FCP) Time to first byte (TTFB) 네트워크 경계에서 첫 번째 바이트가 브라우저에 도달한 시점. 서버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지 프론트 성능 측정의 지표 가 아님 Previous 웹 폰트의 문제점과 해결 Next Garbage collector CATALOG FEATURED TAGS Git Frontend Javascript Translation Typescript Browser Frontend Optimization Linux Programming React Redux HTML CSS Web Programming Backend Flux Http Node OSSCA Review Security